본문 바로가기

경제와 투자

ETF와 ETN

반응형

지하철, TV에서도 광고로 자주 보이는 ETF는 많은 분들이 익숙하실 겁니다. 매월 적립식으로 나스닥이나 S&P500에 투자하는 분들도 ETF에 투자하고 계신 겁니다. 막상 투자를 시작하려고 하면, 비슷한 상품이 많고, 이름이 비슷한 ETN 상품도 있어 선택하기 쉽지 않습니다. ETF와 ETN 두 상품은 각각 어떤 특징이 있고 어떤 차이가 있는 건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ETF

ETF는 Exchange Traded Fund의 약자로, 우리말로는 '상장지수펀드'라고 합니다. ETF는 특정 주식 지수의 움직임과 수익률을 추종하도록 설계된 투자 상품입니다. 다양한 자산 클래스(주식, 채권, 원자재 등)를 추종할 수 있어 투자 선택의 폭이 넓고, 여러 종목에 분산 투자되어 있어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거래소에 상장되어 주식과 같이 실시간으로 거래할 수 있어 유동성이 높고, 일반 펀드에 비해 판매보수 및 수수료가 낮아 투자 비용이 저렴합니다.
하지만, 지수를 완벽하게 추종하지 못해 추적오차가 발생할 수 있고, 주식처럼 거래되므로 시장 변동성에 노출됩니다. 또한 유사한 상품이 많다 보니 일부 상품은 거래량이 적어 유동성 위험이 있습니다.

2. ETN

ETN은 Exchange Traded Note의 약자로, 기초자산의 가격 변동에 연동되는 수익을 제공하는 상장 증권입니다. ETN은 주식, 채권, 원자재 등 다양한 기초자산을 추종할 수 있어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유용합니다. 증권회사가 무담보 신용으로 발행하므로 새로운 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을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고 주식처럼 거래소에 상장되어 실시간으로 거래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해당 기초자산의 가격 변동을 정확히 반영하므로 추적오차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증권회사의 신용에 의존하므로 발행사의 부도 위험과 예금자보호법의 적용을 받지 않아 투자자 보호가 미흡하다는 단점이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3. ETF와 ETN의 차이

ETF와 ETN은 둘 다 시장에 상장되어 거래된다는 점에서 유사하지만, 구조와 특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첫 번째, 발행구조가 다릅니다. ETF는 자산운용사가 발행하는 펀드의 일종으로, 특정 지수나 자산을 추종하는 상품입니다. 펀드 형태로 발행하여 자산을 직접 보유합니다. ETN은 증권회사가 발행하는 채권 형태의 상품으로, 기초자산의 성과를 추적하는 구조입니다. 두 번째, 노출되는 신용 위험이 다릅니다. ETF는 펀드 자산이 별도의 신탁 기관에 보관되어 있어 발행사의 신용 위험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롭지만, ETN은 발행사의 신용으로 발행되는 무보증·무담보 사채와 동일한 신용 위험이 있습니다. 세 번째, 추적 오차입니다. ETF는 운용 과정에서 실수로 인한 추적 오차가 발생할 수 있지만, ETN은 기초자산의 성과를 정확히 추적하므로 추적 오차가 없습니다. 마지막으로, ETF는 펀드 보호법의 적용을 받지만, ETN은 예금자보호법의 적용을 받지 않습니다.

4. 상품명

ETF 상품명에는 지수 또는 자산 유형, 운용사, 레버리지 여부, 헤지 여부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KODEX, KBSTAR 등이 운용사를 알려주는 것이며, 해외 ETF의 경우 환율 변동에 헤지 여부를 “H”를 표기하여 알립니다. ETN의 상품명은 ETF 상품명과 유사합니다. 추종 지수, 발행 증권사, 레버리지 배율, 상품 특징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상품명을 잘 확인하고 상품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경제와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가  (0) 2024.06.17
불가능의 삼각 정리(Impossible Trinity)  (0) 2024.06.16
디지털 화폐  (0) 2024.06.16
환율  (0) 2024.06.16
양적 완화, 양적 긴축, 테이퍼링  (0) 2024.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