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순환의 4단계
경기 순환(Business Cycle)은 경제가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호황과 불황의 변동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경기 회복기, 경기 호황기, 경기 후퇴기, 경기 침체기 4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각 단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경기 회복기
경기 회복기는 경기가 저점을 지나서 다시 상승을 시작하는 단계입니다. 위축되어 있던 소비자의 심리가 개선되면서 소비가 늘어나고, 늘어난 수요에 대응하여 기업은 생산과 고용을 늘리게 됩니다. 자연스럽게 실업률이 낮아지면서 소비가 다시 증가하게 됩니다. 수요와 생산이 함께 증가하면서 경기가 회복하면서 적절한 수준의 물가 상승이 발생합니다. 미래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면서 기업은 설비와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를 늘립니다. 생산성 향상과 경쟁력 강화로 이어지면서 경기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경기 회복에 접어들기 직전까지 경기가 저점이었던 만큼 정부는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을 통해 적극적으로 노력합니다. 금리 인하, 세금 감면, 재정 지출 확대 등의 정책을 시행합니다.
2. 경기 호황기
경기 호황기는 경기 회복기를 지나, 경기가 지속해서 상승하는 단계입니다. 수요는 지속해서 강세를 보입니다. 소비자와 기업의 강한 수요가 나타나면서 소비와 투자가 활발해집니다. 높은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기업은 생산량과 고용을 더 늘리게 됩니다. 실업률은 최저 수준을 유지하게 됩니다. 수요가 많이 증가하면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아지게 되고, 주식, 부동산 등 자산 가치도 상승하면서 자산 효과가 나타납니다. 정부는 경기 과열을 막기 위해 금리 인상, 세금 인상, 재정 지출 억제 등의 긴축 정책을 펼치게 됩니다.
3. 경기 후퇴기
경기 호황기를 지나 경기는 정점에 도달하게 됩니다. 정점에서 하강하는 단계가 경기 후퇴기입니다. 경기 호황기의 물가 상승의 영향으로 소비 심리가 위축하기 시작합니다. 수요가 감소하면서 기업은 생산 활동과 고용, 투자를 줄이게 됩니다. 실업률은 높아지면서 가계 소득이 줄어들어 소비는 다시 감소하게 됩니다. 수요 감소로 인해 디플레이션 압력이 높아지게 되고, 물가 상승률이 낮아지게 됩니다. 고점에 달했던 자산 가치도 하락하기 시작합니다. 정부는 침체된 경기를 활성화하기 위해 금리 인하, 세금 감면, 재정 지출 확대 등의 확장적 정책을 펼치게 됩니다.
4. 경기 침체기
경기 침체기는 경기 침체기의 끝자락, 경기가 하강하면서 최저점에 도달하는 단계입니다. 소비, 투자 등 전반적인 수요 지표뿐만 아니라 기업의 생산 활동도 최저 수준으로 감소합니다. 소비자 심리는 최악이고, 감소한 수요에 따라 기업은 고용을 줄이게 되고, 실업자 수는 최대치를 기록하게 됩니다. 수요가 부진하면서 디플레이션 압력이 가장 강해지게 됩니다. 정부는 경기 후퇴기보다 적극적으로 확장적 재정 정책과 통화 정책을 펼치게 됩니다. 금리 인하, 재정 지출 확대, 유동성 공급 등을 시행합니다.
'경제와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TGA 계좌 (Treasury General Account) (0) | 2024.07.22 |
---|---|
필립스 곡선(Phillips curve) (0) | 2024.07.16 |
GDP와 GNP 그리고 GNI (0) | 2024.07.12 |
ISA(Individual Saving Account) (0) | 2024.07.11 |
금리 (0) | 2024.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