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와 투자

필립스 곡선(Phillips curve)

반응형

필립스 곡선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은 음의 상관관계를 갖음

1. 필립스 곡선의 정의

필립스 곡선은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율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으로, 1958년 뉴질랜드 경제학자 윌리엄 필립스가 발견한 이론입니다. 필립스는 영국의 100년간 데이터를 분석하여 실업률과 물가상승률 간에 역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즉, 실업률이 높으면 인플레이션율이 낮고, 실업률이 낮으면 인플레이션율이 높다는 관계를 찾아냈습니다. 
이 관계를 설명해 보겠습니다. 경기 호황기에 노동 수요가 늘어나 실업률이 낮아지면, 임금이 상승하여 기업의 인건비 상승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기업이 임금 상승분을 제품 가격에 전가하여 물가 상승, 즉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메커니즘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2. 정부의 정책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율이 서로 상충함에 따라 정부는 둘을 동시에 안정시키기 어렵습니다. 정부는 경기 상황에 따라 필립스 곡선상의 안정적인 지점을 찾아 적절한 정책을 시행합니다. 예를 들어 경기 침체기에는 완화적 통화 정책을 통해 실업률 하락을 도모하고, 과열기에는 긴축 정책으로 인플레이션을 억제합니다.
물론,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율의 관계가 어떤 값으로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닙니다. 경제학자들은 필립스 곡선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이동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필립스 곡선이 좌측으로 이동한다면, 실업률이 낮아지더라도, 물가 상승률이 덜 오르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는 경제 전반에 걸쳐 생산성이 향상되면 가능합니다.

3. 필립스 곡선의 한계: 스태그플레이션

하지만 필립스 곡선이 반대로 움직일 수도 있습니다. 1970년대 스태그플레이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이 동시에 높아질 수 있습니다. 당시 실업률이 3.5%에서 5%로 급등했으나, 인플레이션율은 감소하지 않고 오히려 0.5% p 상승했습니다. 필립스 곡선을 이용하여 정책을 시행하려고 할 때마다 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하면서,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율이 동시에 상승하게 되었습니다. 당시는 오일 쇼크로 공급 충격으로 인한 것으로, 공급 충격은 가격을 상승시키고 총공급 곡선을 왼쪽으로 이동시켜 필립스 곡선을 오른쪽으로 이동시킨 결과였습니다.

4. 필립스 곡선의 확장

스태플레이션으로 인해 필립스 곡선의 한계가 드러난 후, 여러 요인을 추가로 고려한 필립스 곡선이 등장했습니다. 기대 인플레이션을 고려한 필립스 곡선 모형이 등장했습니다. 기대 인플레이션이 높을수록 실제 인플레이션이 높아진다는 점을 반영하여, 필립스 곡선을 단기와 장기로 구분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실업률과 무관하게 공급 충격이 인플레이션에 영향을 미침에 따라, 이를 고려한 필립스 곡선 모형이 제시되기도 했습니다.

반응형

'경제와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버드콜(Covered Call)  (0) 2024.07.25
TGA 계좌 (Treasury General Account)  (0) 2024.07.22
경기 순환의 4단계: 회복, 호황, 후퇴, 침체  (0) 2024.07.14
GDP와 GNP 그리고 GNI  (0) 2024.07.12
ISA(Individual Saving Account)  (0) 2024.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