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침체는 일반적으로 경제 주체의 소비가 감소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경기 침체 기간에 경제 성장률이 둔화하고, 실업률이 상승하며, 소비자의 소비 심리가 위축되고, 기업은 수익이 감소하며, 주식, 부동산 등 자산 가치가 떨어지는 등 부정적인 현상이 나타납니다.
이 같은 경기 침체가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일까요? 경기 침체가 발생하는 주된 원인인 금융위기와 긴축 정책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금융위기
금융위기는 금융자산 또는 통화의 가치가 크게 손상되어 그 피해가 금융 부문뿐만 아니라 실물 부문에까지 전이되는 경제 위기를 말합니다. 역사적으로 발생한 금융위기를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튤립 파동은 17세기 네덜란드에서 발생한 금융 거품 사례입니다. 1609년 세계 최초로 설립된 암스테르담의 증권거래소에서는 국채 거래를 통한 막대한 수익이 발생했습니다. 이에 따라 투기 열풍이 일어나 1636년 튤립 한 송이의 가격이 당시 연봉의 10배에 달하는 수준까지 치솟았습니다. 결국 1637년 튤립 가격이 폭락하면서 네덜란드 경제가 몰락의 길로 접어들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경제의 주도권이 영국으로 넘어가게 되었습니다.
다음 투기와 버블은 1929년 월스트리트 대폭락 사건입니다. 1920년대 미국 경제는 급속한 산업화와 생산성 향상으로 호황을 누리고 있었습니다. 이에 따라 주식 시장에서도 투기 열풍이 일어나 주가가 실제 가치를 크게 벗어나게 되었습니다. 1929년 10월 24일부터 29일까지 1주일간 이어진 뉴욕 증권시장의 역사적인 주가 폭락 사건으로, 주가가 약 12% 이상 폭락했습니다. 주가 폭락으로 인해 많은 투자자가 큰 손실을 보았고 소비 감소와 기업 파산으로 이어져 미국의 경제 침체로 이어졌습니다. 이는 전 세계적인 대공황으로 이어졌습니다.
다음 살펴볼 금융위기는 2007-2008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입니다. 2001년부터 2007년까지 미국 부동산 가격이 급등함에 따라 부동산 버블이 형성되었습니다. 이에, 신용등급이 낮은 저소득층도 전통적인 모기지 대출 기준보다 완화된 조건으로 주택자금을 빌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주택담보대출 상품이 서브프라임 모기지 대출입니다. 이후 부동산 가격이 폭락하면서 서브프라임 모기지 차입자들의 부실이 드러나게 되었습니다.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경기 침체가 발생했습니다.
2. 긴축 정책
긴축 정책은 경기 과열을 막고 물가 상승을 억제하는 것이 주된 목적으로 시행하는 정책입니다. 긴축 정책에는 정부 지출 감소, 세금 인상 등을 통해 국민의 소득과 소비를 줄이는 재정정책과 중앙은행이 금리 인상, 통화량 감소 등의 수단을 통해 통화 공급을 줄이는 통화정책이 있습니다. 하지만 긴축 정책이 기업과 가계에 미치는 영향이 길어질수록 경기 침체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지게 됩니다
긴축 정책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은, 첫 번째, 금리 인상으로 기업의 차입 비용이 증가하여 투자와 운영 자금 조달이 어려워집니다. 두 번째, 가계의 구매력 감소로 기업의 제품 및 서비스 수요가 줄어들어 매출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세 번째, 차입 비용의 증가 등으로 기업의 투자 여력이 감소하여 신규 투자와 설비 투자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 네 번째, 기업의 실적 악화로 인해 주가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 특히 IT, 산업재, 소재, 경기소비재 업종이 더 큰 영향을 받습니다.
이에 기업은 부채 감축, 유동성 확보 등 재무 구조 개선을 통해 재무 건전성을 강화합니다. 인력 감축, 생산성 향상, 공정 효율화 등을 통해 비용을 줄이기도 하며, 신사업 진출, 해외 시장 개척 등 다각화 전략을 추진하기도 합니다.
긴축 정책이 가계에 미치는 영향은, 첫 번째, 기준금리 인상으로 대출금리가 상승하여 가계의 대출 원리금 상환 부담이 늘어납니다. 두 번째, 원리금 상환 부담 증가로 가계의 가처분소득이 줄어들어 소비 여력이 감소합니다. 세 번째, 가처분소득 감소로 인해 가계의 소비가 줄어들어 경기 침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네 번째, 주택 및 주식 등 자산 가치가 하락하여 가계의 순자산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다섯 번째, 원리금 상환 부담 증가로 가계부채 증가세가 확대될 수 있어 경제 불안정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가계는 필수적인 지출 외에 여가, 외식 등 선택적 지출을 줄입니다. 가처분소득 감소로 인해 저축과 투자를 줄일 수밖에 없습니다. 원리금 상환 부담이 증가하므로 새로운 대출을 자제합니다.
3. 경기 침체 대비 방안
경기 침체를 막기 위해 금융위기를 막고 긴축 정책을 적절히 시행하면 좋겠지만 이는 쉽지 않습니다.
투자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부실한 기업에 대출을 해주는 금융기관의 방만한 운영, 감독기관의 부실한 감독, 관련 금융기관의 도덕적 해이 등 항상 예상하지 못했던 부분이 원인이 되어 경기 침체로 이어졌습니다.
긴축 정책을 멈추는 것도 쉽지 않습니다. 최근 상황에서 볼 수 있듯이, 금리 인하 시기에 대한 의견도 다양할 뿐만 아니라 심지어 금리 인상이 언급되기도 하는 상황입니다. 상반된 의견이 함께 나오고 있는 만큼 경기 침체 전까지만 긴축 정책을 시행하여 경기 침체를 막는 것도 쉽지 않습니다.
이 같은 사실을 알고, 경기 침체에 준비하고 대응할 수 있는 자세가 되어 있어야겠습니다.
'경제와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CD금리, 콜금리, 리보금리 (0) | 2024.06.27 |
---|---|
퇴직연금 & IRP (0) | 2024.06.25 |
자유무역주의와 보호무역주의 (0) | 2024.06.23 |
TDF(Target Date Fund) (0) | 2024.06.19 |
고용지표 (0) | 2024.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