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와 투자

연방준비은행

반응형

거시경제와 투자에 관심이 있다면 중앙은행, 국가별 중앙은행 중에서도 미국에서 중앙은행 역할을 하는 연방준비은행(Federal Reserve System)에 대해 많이 들어봤을 겁니다. 중앙은행과 연방준비은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중앙은행의 역할

중앙은행은 현대 금융경제의 핵심 기관으로, 통화정책을 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통화정책, 화폐 발행, 지급결제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국가 경제 운영의 핵심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통화정책

중앙은행은 다양한 정책 수단을 활용하여 통화량을 조절하고 물가 안정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 경제 상황을 고려하여 기준금리를 결정하고, 이를 통해 시중 금리 수준을 조절합니다. 두 번째, 국공채 매매를 통해 시중 유동성을 조절하는 정책을 시행하는 공개시장 운영을 하기도 합니다. 세 번째, 금융기관의 지급준비금을 통해 통화량을 조절합니다. 네 번째, 금융기관에 대한 대출과 예금 금리를 조절하여 통화량을 관리합니다. 

화폐 발행

중앙은행은 국가의 화폐 발행을 담당하는 핵심 기관으로, 실물 화폐와 디지털   화폐를 발행하고 있습니다. 화폐 발행을 통해 국가 통화 안정성을 유지하고, 국민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화폐를 공급하여 지급결제의 편의성을 높입니다. 또한 통화량 조절 등 효과적인 통화 수행 기반을 마련할 수 있고, 화폐 발행 비용보다 높은 가치로 화폐를 발행하여 화폐주조 이득을 얻고 있습니다.

지급결제 관리

중앙은행은 거액결제시스템, 증권 결제 시스템 등 주요 지급결제 인프라를 구축하고 운영하여 금융기관 간 대규모 자금 이체와 증권거래 결제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 

2. 연방준비은행

연방준비은행은 미국의 중앙은행으로, 1913년 12월 23일에 설립되었습니다. 연방준비은행은 통화정책 수립, 금융 시스템 감독, 지급 결제 시스템 운영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미국 경제의 안정과 성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1930년대 대공황과 2000년대 금융 위기 등 주요 경제 사건에서 연방준비은행의 정책 대응이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대공황 당시 통화 공급 확대와 금리 인하 등의 정책을 통해 경기 침체를 완화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2008년 금융 위기 당시 연방준비은행은 유동성 공급, 금리 인하 등의 적극적인 정책 대응으로 금융 시스템 붕괴를 막았습니다.

연방준비은행의 구조

연방준비은행은 연방준비이사회(Federal Reserve Board) ,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 지역 연방준비은행, 회원 은행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각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연방준비이사회는 연방준비은행의 최고 의사결정 기구로, 의장 1명과 이사 7명으로 구성됩니다. 이사는 대통령이 지명하고 상원의 승인을 받아 임명됩니다. 연방준비이사회는 통화정책, 금융 규제, 지급 결제 시스템 감독 등의 주요 정책을 결정합니다. 연방준비이사회 의장은 전 세계 금융 정책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며, '세계 경제의 대통령'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연방준비이사회 의장과 이사 6명, 그리고 12개 지역 연방준비은행 총재 중 5명으로 구성됩니다. FOMC는 공개시장 조작을 통해 단기 금리를 조절하여 통화정책을 시행합니다. 또한 경제 전망과 통화정책 방향을 발표하여 시장에 중요한 신호를 보냅니다.
연방준비은행은 전국에 12개의 지역 연방준비은행과 약 2,800개의 회원 은행을 두고 있습니다. 각 지역 연방준비은행은 해당 지역의 경제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지역 금융기관에 대한 감독 업무를 수행합니다. 지역 연방준비은행의 총재는 FOMC 회의에 참여하여 의사결정에 참여합니다. 회원 은행은 연방준비은행에 예금을 보유하고, 연방준비은행의 대출 및 지급 결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 은행은 연방준비은행의 정책 결정 과정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경제와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본원통화  (0) 2024.06.15
거시경제학  (0) 2024.06.14
채권  (0) 2024.06.12
CPI와 PPI 그리고 PCE  (0) 2024.06.11
물가  (0) 2024.06.10